[ 푸코 - 성의 역사 1~4권 완간 ]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L’Histoire de la sexualité)>는 현재까지 총 4권으로 구성되는데, 1권 <지식의 의지(La volonté de savoir)>는 1976년, 2권 <쾌락의 활용(L’usage des plaisirs)>과 3권 <자기에의 배려(Le souci de soi)>는 사망 직전인 1984년, 4권 <육체의 고백(Les aveux de la chair)>은 2018년에 출간됐다. 제1권에서 푸코는 빌헬름 라이히(Wilhelm Reich)를 위시한 일련의 저자들이 제시한 “억압 가설,” 즉 근대 서구사회가 성을 억눌러왔다는 주장을 반박하며 성과 권력의 문제를 새로이 역사화하고자 했다. 제2권부터 그는 처음의 6부작 계획을 폐기하고 새로운 접근법과 구성에 따라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자기조절ㆍ자기관리 기술을 ‘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천착했다. 따라서 2권과 3권은 차라리 ‘새로운 성의 역사’의 1권과 2권이라 명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후출판금지”를 명시적으로 지시한 푸코의 뜻에 따라 공개되지 않고 있던 제4권의 수고가 2013년에 프랑스국립도서관에 기증되었으며, 유족의 결정에 따라 2018년에 단행본으로 제4권이 출간됐다. 그러나 각 권의 “진정한” 순서는 (만일 그런 것이 있다면) 명확하지 않다. 푸코는 <육체의 고백>이 제3권이 될 것이며 <자기에의 배려>는 아예 <성의 역사> 시리즈의 일부가 아닐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고, <쾌락의 활용>과 <자기에의 배려>가 합본단권으로 완성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결국 서론이 있는 2권과 서론이 없는 3권으로 분리되어 동시출간된 두 권의 책에는 원래 한 권이었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게다가 푸코가 4권이 된 초기 기독교 연구의 원고를 1979~1980년에 집필한 뒤에야 2권과 3권의 작업에 돌입했다는
<선을 넘는 녀석들>이 말하는 ‘프랑스혁명사’ 김대보 한국교원대 “왕과 귀족은 평민이 낸 세금으로 호의호식하고 있었다. 불만에 가득찬 평민대표들은 그들의 목소리를 모을 국민의회를 결성했고, 성난 시민들은 왕권유지를 위한 공포정치의 상징이었던 바스티유를 습격했다.1) 그리고 이 습격사건은 최초의 민주화 혁명인 프랑스 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고, 바로 이곳에서 전 세계 민주화가 시작되었다. 또한 바스티유에 수감되어있던 죄수들은 그곳에 정치범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고 믿었던 민중들에 의해 영웅이 되었다. 바스티유 습격 4년 후, 절대권력이던 루이 16세는 시민들 손에 이끌려 단두대로 향하게 된다. 콩코르드 광장에서 루이 16세를 처형하면서 프랑스 대혁명은 완성된다. 로베스피에르는 혁명이 유죄가 되기 전에 왕을 죽여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일각에서는 로베스피에르가 과거의 치욕을 복수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 치욕은 루이르그랑 고등학교(Lycée Louis Le Grand)를 지나가던 루이 16세 앞에서 학생 대표였던 로베스피에르가 무릎을 꿇고 시를 읊었지만, 루이 16세가 시큰둥하게 지나간 사건이었다. 그리고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소통하지 않은 왕의 말로가 비참했다. 이제 민중들이 하나가 되어 절대권력을 무너뜨렸다. 국민에 의한 국민공회가 만들어졌고, 3인방(마라, 당통, 로베스피에르)이 주도했다. 민중들은 혁명이 오면 신세계가 올 줄 알았는데, 이 세 사람이 독재를 시작했다. 여기서 마라는 문제가 많은 사람이었다. “몇 달 안에 십만 명만 죽이게 해주면 내가 세상을 바꾸겠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마라를 죽인 사람이 코르데인데, 심문 과정에서 10만 명을 구하기 위해 한 사람을 죽였다고 답했다. 코르데는 공포정에 맞섰던 암살천사였다. 당시 사람들이 코르데의 미모를 보고 반해서 이렇게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마라의 죽음을 보고 깜짝 놀란 로베스피에르가 자신도 암살당할 수도 있다면서 더 무섭게 독재를 했다. 그리고 민주화라는 이름으로 사